본문 바로가기
커피학

카페라떼와 카푸치노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자

by golog 2025. 5. 13.

커피학

카페라떼와 카푸치노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자

카페라떼와 카푸치노는 모두 에스프레소를 베이스로 한 밀크 베리에이션 커피이지만, 그 구조와 성격은 분명히 다릅니다. 겉보기에 비슷해 보일 수 있지만, 실제로는 우유의 질감, 양, 층의 구성, 마우스필, 그리고 맛의 강도에서 뚜렷한 차이가 있습니다. 카페라떼(Caffe Latte)는 에스프레소와 스팀 밀크, 소량의 마이크로폼으로 구성되며, 부드럽고 크리미한 질감을 중시합니다. 이에 반해 카푸치노(Cappuccino)는 같은 양의 에스프레소에 더 적은 양의 우유, 그리고 더 많은 밀크폼을 얹어 가벼우면서도 거품감이 있는 음료로 만들어집니다. 라떼는 보통 1:3~1:5의 비율로 에스프레소와 우유가 섞이며, 우유의 풍미가 부드럽게 커피의 쓴맛을 감싸줍니다. 반면 카푸치노는 1:1:1 비율(에스프레소:스팀밀크:폼밀크)이 정석으로, 우유의 단맛보다는 거품의 공기감과 커피의 존재감이 강하게 느껴지는 구조입니다. 이 때문에 카페라떼는 디저트와 곁들일 때, 카푸치노는 단독 음용으로 즐길 때 더 적합하다는 평가도 많습니다. 맛의 측면에서도 라떼는 부드럽고 묵직한 단맛과 함께 커피의 쌉쌀함이 자연스럽게 섞이는 반면, 카푸치노는 첫 입에 크레미한 거품이 입안을 감싸며 에스프레소의 강렬한 맛이 더 또렷이 느껴집니다. 이러한 구조적 차이로 인해 라떼는 라떼아트에 적합하고, 카푸치노는 상단 거품이 많아 아트 표현이 어렵다는 것도 중요한 차이점입니다. 카페 메뉴에서 둘을 구분하지 않으면 고객 만족도가 떨어질 수 있을 만큼, 두 음료의 개별성은 분명히 존재합니다.

우유 양과 질감의 차이: 스티밍에서 갈리는 두 길

두 음료의 가장 큰 차이는 스티밍된 우유의 양과 질감입니다. 라떼는 스팀 밀크가 주된 구성 요소로 작용하며, 표면에는 얇은 마이크로폼이 약 0.5cm 정도 덮여 있습니다. 이 마이크로폼은 마치 실크처럼 부드럽고 고운 질감을 가지고 있어 라떼아트를 위한 캔버스로 적합하죠. 반면, 카푸치노의 경우 스팀 밀크는 소량이며, 폼 밀크의 두께가 약 1~1.5cm 이상 형성되어 푹신한 거품층이 커피 위에 도톰하게 자리 잡는 형태입니다. 이 차이는 단순히 비주얼만이 아니라 마우스필에서도 차이를 만듭니다. 라떼는 묵직하고 크리미한 질감이 혀를 감싸며, 마치 우유 음료처럼 부드럽게 목을 타고 넘어갑니다. 반면 카푸치노는 입에 닿는 거품의 탄력감과 공기감이 먼저 느껴지고, 그다음 에스프레소가 분명하게 드러납니다. 우유의 스티밍 온도도 미묘하게 다를 수 있는데, 라떼는 약 60~65도에서 마이크로폼을 만드는 것이 이상적이고, 카푸치노는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보다 풍성한 거품을 생성하도록 조정합니다. 폼 밀크의 질감은 바리스타의 스티밍 스킬에 따라 달라집니다. 카푸치노용 우유는 좀 더 길게 에어링을 진행해 공기를 더 많이 주입해야 하며, 회전보다는 팽창 중심의 텍스처링이 필요합니다. 반면 라떼는 초반 에어링은 짧고, 이후 텍스처링을 통해 부드럽고 미세한 거품을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렇게 각기 다른 스티밍 방식은 단지 모양뿐 아니라, 전반적인 음료 경험에 깊은 영향을 미칩니다.

맛의 무게감과 용도 차이: 언제 어떤 음료가 어울릴까?

카페라떼와 카푸치노는 단지 조합 비율만이 아닌, 음용 목적과 시간, 기호에 따라 선택의 방향이 달라지는 음료입니다. 카페라떼는 우유 비율이 높기 때문에 자극이 적고, 여운이 길며 부드러운 풍미를 제공합니다. 아침식사 대용이나 디저트와 곁들이기 좋고, 커피를 자주 마시는 소비자에게는 부담 없는 일상 음료로 사랑받습니다. 특히 우유와의 조화로 인해 에스프레소의 산미와 쓴맛을 둥글게 감싸주는 특징 덕분에, 다양한 원두와도 무난한 매칭이 가능합니다. 반면 카푸치노는 좀 더 짧고 강한 인상을 남기는 커피로, 특히 에스프레소의 캐릭터가 또렷하게 살아나기를 원하는 유저에게 적합합니다. 라떼보다 상대적으로 바디감이 가볍고, 거품의 밀도가 입안에서 텍스처적 포인트를 만들어주기 때문에, 단독으로 마셨을 때 그 매력이 극대화됩니다. 무엇보다 카푸치노는 적당한 단맛과 쌉싸름한 여운의 밸런스가 뛰어나 커피 본연의 향미를 더 선명하게 인지할 수 있습니다. 한 가지 팁은, 오후 시간대에는 라떼보다 카푸치노가 더 어울리는 경우가 많다는 점입니다. 이유는 라떼가 무겁고 포만감을 줄 수 있기 때문인데, 카푸치노는 양도 작고 상대적으로 깔끔하여 간단한 휴식용 커피로 안성맞춤입니다. 또한 계절에 따라도 취향이 갈리는데, 추운 날씨에는 부드러운 라떼가 인기가 많고, 따뜻한 봄이나 가을에는 공기감 있는 카푸치노가 더 어울리기도 하죠. 이렇게 시간, 기분, 음식, 기호에 따라 두 음료의 활용 범위는 명확히 구분됩니다.

카페라떼 vs 카푸치노 비교표로 쉽게 정리하기

아래 표는 두 음료의 구성, 맛, 질감, 라떼아트 가능성 등을 비교하여 정리한 것입니다. 실제 카페 메뉴 개발이나 홈카페 운영 시에도 유용하게 참고할 수 있어요.

항목 카페라떼(Caffe Latte) 카푸치노(Cappuccino)
에스프레소 양 1샷(30ml), 더블도 가능 1샷(30ml), 더블도 가능
스팀 밀크 약 150~200ml 약 75~100ml
폼 밀크 0.5cm 이하, 얇고 부드러움 1~1.5cm이상, 풍성하고 공기 많음
맛의 성향 부드럽고 크리미, 묵직한 단맛 중심 가벼운 질감, 에스프레소 풍미 강조
마우스필 크리미하고 묵직함 공기감 있는 가볍고 드라이한 느낌
라떼아트 적합성 매우 우수 (마이크로폼 최적) 거품이 많아 제한적 혹은 불가능
음용 목적 식사 대용, 일상 커피 단독 음용, 강한 인상을 원할 때
이상적인 추출 온도 60~65 ℃ 55~60 ℃

이처럼 두 음료는 비슷한 재료를 사용하지만, 비율과 스티밍 기술, 목적에 따라 완전히 다른 커피 경험을 선사합니다. 홈카페에서의 시도든, 바리스타 입장에서든, 각각의 특징을 잘 이해하고 구분할 줄 아는 것이 커피 문화를 더 깊게 즐기는 방법입니다.